맨위로가기

백색 혁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색 혁명은 1963년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이란 샤가 추진한 일련의 개혁 정책을 의미한다. 이 개혁은 이란을 경제 및 산업 강국으로 만들고자 하는 목표 아래 토지 개혁, 국유지화, 기업 민영화, 여성 참정권 부여, 교육 개혁 등을 포함했다. 백색 혁명은 경제 성장과 여성 권리 신장에 기여했으나, 토지 개혁의 불완전성, 농업 소외, 종교 지도자들의 반발 등으로 인해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결국, 백색 혁명은 1979년 이란 혁명의 배경이 되었고, 팔레비 왕조의 붕괴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지개혁 - 남부해방군
    남부해방군은 1910년대 멕시코 혁명 당시 에밀리아노 사파타가 이끌며 토지 개혁을 주장하고 멕시코 남부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혁명 세력으로, 마데로 혁명 지원 후 아얄라 계획을 통해 독자 노선을 제시하고 우에르타 독재에 저항했으나 사파타 사후 멕시코 사회 개혁과 한국 민주화 운동에 간접 영향을 미쳤다.
  • 이란 혁명 -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
    1965년 이란에서 설립된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는 초기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팔레비 정권에 대한 무장 반란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의 갈등, 테러 단체 지정, 이라크와 알바니아로의 이전 등 논란 속에서 이란 정부 전복을 추구하고 있다.
  • 이란 혁명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백색 혁명
지도
명칭
다른 이름샤와 인민 혁명
페르시아어انقلاب سفید (Enqelâb-e Sefid)
페르시아어 (로마자 표기)Enqelâb-e Šâh o Mardom
기본 정보
시기1963년 – 1979년
주도모함마드 레자 팔라비
목적이란의 사회, 경제, 정치적 개혁
목표봉건 제도 해체
산업화 촉진
토지 재분배
문맹 퇴치
여성 권리 신장
보건 개선
국가 행정 개혁
주요 내용
토지 개혁대규모 토지 소유 제한 및 농민에 대한 토지 재분배
국유림 국유화산림 자원의 국가 관리
사기업 국유화일부 기업을 국가 소유로 전환
이윤 분배산업 노동자들에게 이익 공유 제도 도입
선거법 개정여성에게 투표권 부여 및 선거 시스템 변화
문맹 퇴치단문맹 퇴치를 위한 캠페인과 교육 프로그램
보건 개선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과 보건소 설립
교육 개혁새로운 학교 설립 및 교육 과정 변경
행정 개혁공공 부문 효율성 개선
사회 복지사회 복지 시스템 강화
결과
경제적 영향경제 성장
산업화 촉진
석유 수입 증대
사회적 변화사회 계층 이동 증가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
교육 수준 향상
문맹률 감소
정치적 영향기존 권력 구조 약화
종교계와 전통주의자들의 반발 심화
정치적 불안정 증가
평가
지지서구화 및 현대화를 추구하는 세력
일부 개혁 지지층
비판지나친 서구화에 대한 반발
강압적인 개혁 추진 방식
전통적인 가치 훼손
종교계의 강력한 반발
불평등 심화와 부패 문제
사회적 불만 고조
논란장기적인 효과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논쟁
급격한 변화에 대한 사회적 적응 문제
이란 혁명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

2. 역사적 배경

파흘라비 국왕은 미국 민주당 존 F. 케네디 행정부의 지속적인 이란 개혁 요구에 따라 상향식 근대화를 통한 경제 성장을 계획했다. 미국의 지원 아래 토지 개혁을 실시하여 농민들의 불만을 해소하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산업화, 노동자 처우 개선, 여성 참정권, 교육 향상 등 서구화를 추진했다. 또한, 이란 내 자본과 지지 기반을 지방 지주층에서 중앙 부르주아지로 이동시켜 현대적인 산업 사회의 출현을 시도했다.

파흘라비 2세는 국가의 서구화와 종교인 이슬람보다 아리아인에 기원을 두는 서구적 민족주의를 개혁의 기둥으로 삼는 등 세속적인 정책을 시행하는 한편, 석유 수입과 관련된 이익 제공과 협동조합 제도 도입에도 힘써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려고 했다. 1974년 발생한 오일 쇼크 이후 급격한 원유 가격 상승으로 얻은 수입을 이러한 정책에 투입했다.

그러나 산업 기반의 실정을 고려하지 않고 산업화 등 근대화 정책만 우선 추진했기 때문에 외국에서 상품을 수입했지만 항만 하역 설비 부족으로 선박이 오랫동안 대기해야 했다. 인플레이션도 급격히 진행되어 서민을 고통스럽게 했고 실업자는 증가했으며 빈부 격차가 커졌다. 대규모 부정부패도 만연했고, 석유 달러를 노린 상사들로부터 왕실 주변과 정부 고위 관료들에게 뇌물 공세가 이루어졌다.

1970년대 후반 백색 혁명은 붕괴되었다. 이에 따라 국민 사이의 경제적 격차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정치에 대한 불만도 높아지면서 국왕의 구심력도 급격히 저하되었다. 빈부 격차가 확대되고 혁명의 영향은 상류 중산층과 하층 계급의 대립, 특히 자유주의적인 테크노크라트와 엄격하고 보수적인 시아파 종교 지도자 간의 대립을 격화시켰고, 이것이 이후 일어난 이란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2. 1. 백색 혁명의 추진 배경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는 국내적으로는 봉건적 사회 구조를 개혁하고, 대외적으로는 서구, 특히 미국의 지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미국의 민주당 케네디 행정부는 이란의 개혁을 지속적으로 요구했으며, 이는 백색 혁명 추진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8] 팔레비는 토지 개혁을 통해 농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산업화, 여성 참정권 부여, 교육 향상 등 서구화를 추진하고자 했다.[9] 또한, 이란 내 자본과 지지 기반을 지방 지주층에서 중앙 부르주아지로 이동시켜 현대적인 산업 사회의 출현을 시도했다.

높은 문맹률은 이란의 근대화 기반 구조 부족을 드러냈고, 개혁의 혜택은 일부 시민에게만 국한되었다. 석유 가격 폭등으로 정부에는 돈이 넘쳐났지만, 투자가 우선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왕은 이란 군대의 정비를 추진하고 미국으로부터 대량의 무기를 구입했다.

루홀라 호메이니는 이러한 개혁 자체에는 직접 반대하지 않았지만, 개혁에 내재된 국왕 독재적 성격을 맹렬히 비난하여 결국 체포되어 국외 추방당했다.

2. 2. 백색 혁명의 주요 내용

انقلاب سفیدfa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토지 개혁''': 정부는 지주로부터 토지를 매입하여 농민에게 30%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고, 저금리 대출을 제공했다. 이를 통해 150만 농민 가족(약 900만 명, 전체 인구의 40%)이 토지를 소유하게 되었다.[8]
  • '''산림 및 목초지 국유화''': 국가 자원 보호 및 개발을 위해 시행되었다. 26개 지역에 90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어 280km2의 "녹지대"를 조성했다.[9]
  • '''정부 소유 기업 민영화''': 제조 공장 주식을 대중과 옛 봉건 영주에게 매각하여 산업화를 촉진했다.[9]
  • '''이윤 분배''': 민간 기업 노동자에게 순이익의 20%를 지급하고, 생산성 향상에 따른 보너스를 제공했다.
  • '''여성 참정권 부여''': 여성에게 투표권과 피선거권을 부여했다.[9] 이는 일부 성직자들의 반발을 샀다.
  • '''문맹 퇴치단, 보건단, 재건 및 개발단 설립''':
  • '''문맹 퇴치단''': 고등학교 졸업자가 병역 대신 마을에서 문맹 퇴치 활동을 하도록 했다.[9] 1963년 당시 문맹률은 2/3 수준이었다.
  • '''보건단''': 공중 보건 확대를 위해 설립되었다.[9] 3년 만에 4,500개 의료팀이 훈련받고, 1,000만 명의 환자를 치료했다.
  • '''재건 및 개발단''': 농촌에 현대적 농업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설립되었다.[9] 1964~1970년 사이 농업 생산량은 중량 기준 80%, 가치 기준 67% 증가했다.
  • '''공평의 집 설립''': 경미한 범죄 및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 기관으로, 마을 주민들이 선출한 5명의 원로들이 3년 임기로 운영했다. 1977년까지 1만 9천여 개 마을, 1천만 명 이상의 주민에게 1만 358개의 공평의 집이 운영되었다.
  • '''수자원 국유화''': 이란의 제한된 수자원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책이었다. 여러 댐이 건설되었고, 1978년에는 5개 댐이 추가 건설 중이었다. 관개 면적은 1968년 8000km2에서 1977년 56000km2로 증가했다.
  • '''도시 및 농촌 현대화 및 재건''': 재건 및 개발단의 도움으로 학교, 도서관, 공중 목욕탕을 건설하고, 전기 및 수도 시설을 설치했다.
  • '''교육 개혁''': 교육 과정을 다양화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시켰다.
  • '''산업 단지 주식 소유권''': 노동자에게 산업 단지 주식 소유권(국가 소유 기업의 최대 99%, 민간 기업의 49%)을 부여했다.
  • '''가격 안정''': 불합리한 폭리 단속, 다국적 기업 제재, 투기 목적 상품 압수 및 판매 등을 시행했다(1975년).
  • '''무상 의무 교육 및 급식''': 유치원부터 14세까지 무상 교육 및 급식을 제공했다. 1978년에는 국민의 25%가 공립학교에 등록했고, 18만 5천 명의 남녀 학생이 이란 대학에 재학 중이었다. 10만 명이 넘는 학생이 해외 유학 중이었고, 그중 5만 명은 미국 대학에 재학 중이었다.
  • '''사회 보장 및 국민 보험 도입''': 모든 국민에게 사회 보장 및 국민 보험을 제공했다. 퇴직 시 임금의 최대 100%를 제공했다.
  • '''주택 임대 및 구매 비용 안정화''': 토지 가격 및 투기 통제를 시행했다(1977년).
  • '''관료 조직 부패 방지''': 황실 감찰위원회를 설립하여 부패 방지 노력을 기울였다.

3. 백색 혁명의 결과

백색 혁명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는 이란을 경제 및 산업 강국으로 변모시키기 위해 백색 혁명을 추진했다. 근로자를 위한 이윤 공유, 중공업 프로젝트, 산림 및 목초지 국유화 등을 시행했다. 특히 토지 개혁으로 소작농의 약 90%가 토지 소유주가 되었다. 사회적으로는 여성에게 더 많은 권리를 부여하고 교육에 투자했다. 문맹 퇴치단을 통해 문맹 퇴치에 힘썼다.[8]

백색 혁명은 1963년 1월 9일에 처음 6개 요소가 도입되었고, 이후 19개 요소로 구성되어 16년에 걸쳐 시행되었다.[8]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토지 개혁 프로그램과 "봉건주의" 폐지: 농민들에게 토지를 저렴하게 판매.
2산림 및 목초지 국유화:[9] 도시 주변과 고속도로 경계에 녹지대 조성.
3정부 소유 기업의 민영화:[9] 새로운 공장 소유주 계급 창출.
4이윤 공유: 산업 노동자에게 순이익의 20% 지급, 보너스 제공.
5여성의 투표권 확대:[9] 일부 성직자들의 비판을 받음.
6문맹 퇴치단 설립:[9] 문맹 퇴치 활동.
7보건단 설립:[9] 공중 보건 의료 확대.
8재건 및 개발단 설립:[9] 현대적인 농업 및 축산 기술 교육.
9공평의 집 설립: 경미한 범죄 및 분쟁 해결.
10모든 수자원의 국유화: 수자원 보존 및 활용.
11도시 및 농촌 현대화 및 재건: 공중 목욕탕, 학교, 도서관 건설, 수도 및 전기 공급.
이란 상원 건물에 있는 문맹 퇴치단의 제복을 입은 여성들
12교육 개혁: 교육 과정 다양화.
13산업 단지 주식 소유권에 대한 근로자의 권리: 주식 매각.
14가격 안정: 불합리한 폭리 단속, 벌금 부과, 제재.
15무상 의무 교육: 유치원부터 14세까지 무상 급식 제공, 초등학교 건설.[9]
16어려운 어머니와 신생아를 위한 무상 식량 제공.
17사회 보장 및 국민 보험 도입: 퇴직 시 임금의 최대 100% 제공.
18주택 임대 또는 구매 비용의 안정 및 합리화: 토지 가격 및 투기 통제.
19관료 조직 내 부패와의 싸움을 위한 조치 도입: 황실 감찰위원회 설립.



이 시기 동안 항만 시설이 개선되고, 이란횡단철도가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로가 포장되었다. 여러 소규모 공장들이 문을 열었고, 섬유, 공작 기계, 자동차 조립을 위한 대규모 공장들도 가동되었다.[10] 교육 기관도 성장하여 문해율이 높아졌다.[11] 여성의 권리도 향상되어 투표권, 출마권, 변호사 및 판사로서의 직무 수행권을 얻었다. 결혼 적령기도 15세로 상향되었다.[11]

경제적으로 백색 혁명은 이란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동시에 여러 문제점도 야기했다. 루홀라 호메이니는 백색 혁명으로 인한 정부 부패와 개혁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샤의 정치적 적으로 떠올랐다.[24]

3. 1. 긍정적 측면

백색 혁명은 이란 사회에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제 성장: 연평균 9.8%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이란 경제가 빠르게 성장했다.[12] 항만 시설이 개선되고 이란횡단철도가 확장되었으며, 테헤란과 각 주도를 잇는 주요 도로가 포장되었다.[10] 의류, 식품 가공, 시멘트, 타일, 종이, 가전제품 등을 생산하는 소규모 공장들과 섬유, 공작 기계, 자동차 조립을 위한 대규모 공장들이 설립되었다.[10]
  • 산업화: 정부는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여 중공업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제조 공장의 주식을 대중과 옛 봉건 영주들에게 매각하여 새로운 공장 소유주 계급을 창출했다.[9]
  • 사회 개혁: 여성에게 투표권과 출마권이 부여되었고,[9] 변호사 및 판사로 임용될 수 있게 되었다.[11] 문맹 퇴치단 설립으로 문해율이 26%에서 42%로 향상되었고,[11] 보건단 설립으로 농촌 지역에 공중 보건 의료가 확대되었다.[9]
  • 중산층 성장: 100만 가구 이상이 소규모 사업주가 되었고, 약 70만 명이 봉급 생활 전문직 종사자가 되면서 중산층이 크게 성장했다.[12]
  • 1인당 소득 증가: 혁명 이후 수십 년 동안 이란인들의 1인당 소득이 크게 증가했다.[14]
  • 교육 기회 확대: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등록 학생 수가 크게 증가했고, 해외 유학을 가는 학생들도 많아졌다. 특히 1978년에는 이란 국민의 25%가 공립학교에 등록했고, 이란 대학에는 남녀 18만 5천 명이 재학 중이었으며, 10만 명이 넘는 학생이 해외에서 유학 중이었다.[9]
  • 농민들의 삶 개선: 토지 개혁 프로그램을 통해 이란 소작농의 약 90%가 토지 소유주가 되었다. 이로써 한때 노예와 다름없었던 150만 명의 농민 가족(약 900만 명)이 자유를 얻게 되었다.[8]


이러한 변화들은 이란 사회를 근대화하고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3. 2. 부정적 측면

백색 혁명은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여러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냈다.
토지 개혁의 한계:토지 개혁은 농민 전체에게 토지를 분배하지 못했고, 토지를 받은 농민 중 상당수는 생계 유지에 충분한 양을 받지 못했다. 그 결과, 농촌 인구는 번영하는 농부, 소규모 지주, 농촌 노동자의 세 집단으로 나뉘었다.[16] 농촌 노동자들은 아무런 토지도 받지 못하고 농장 일꾼, 노동자, 목자로 생계를 유지해야 했으며, 많은 이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주했다.[17]
농업 생산성 감소:토지 개혁으로 전통적인 농업 시스템이 붕괴되고 농업 기술 부족, 도시로의 인구 유출 등으로 인해 농업 생산량이 감소하고 식량 수입이 증가했다.[18]
인플레이션 심화:산업화 정책 우선 추진, 외국 상품 수입 증가, 관리 부실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심화되었다.
빈부 격차 확대:개혁의 혜택이 일부 시민에게만 국한되고, 석유 가격 폭등으로 인한 이익이 소수에게 집중되면서 빈부 격차가 확대되었다.
부정부패 만연:석유 달러를 노린 뇌물 공세와 정부의 부실한 관리로 인해 부정부패가 만연했다.
정치적 불안:백색 혁명에 대한 성직자, 지주 계급의 반발과 루홀라 호메이니의 반정부 활동으로 인해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었다.
시아파 성직자들의 반발:교육가족법 영역에서 성직자들의 권한이 축소되고, 농촌 지역에서의 영향력이 약화되면서 시아파 성직자들의 반발이 거세졌다.[19] 특히, 루홀라 호메이니는 백색 혁명과 샤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반정부 운동을 주도했다.[20] 그는 이란의 비무슬림 소수 민족 구성원이 지방 공직에 선출되거나 임명될 수 있도록 하는 개혁 조항을 공격했다.[21] 아슈라절에는 샤를 "비참한 불쌍한 자"라고 공격하는 격앙된 연설을 했으며,[22] 이틀 후 체포되어 3일간의 폭동으로 이어져 수백 명의 사망자를 냈다.[23]

4. 백색 혁명의 종말과 이란 혁명

1970년대 후반, 석유 가격이 안정화되면서 백색 혁명의 여러 문제점들이 드러나 국민들의 불만이 커지기 시작했다.[24] 경제적 격차 확대, 정치적 억압, 그리고 만연한 부정부패는 샤의 통치 기반을 약화시키는 주요 원인이었다.

루홀라 호메이니는 이러한 상황에서 백색 혁명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결집시키는 중심 인물로 떠올랐다. 그는 샤의 퇴진과 이슬람 공화국 수립을 주장하며 혁명을 이끌었다. 결국 1979년 이란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무너지고 이슬람 공화국이 들어서면서 백색 혁명은 막을 내렸다.[24]

5. 평가 및 비판

백색 혁명은 이란의 근대화와 경제 성장에 기여했지만, 여러 문제점들을 야기하며 비판을 받았다.
문제점 및 비판


  • 사회적 불평등 심화 및 정치적 억압: 백색 혁명으로 인한 산업화 혜택은 일부 시민에게만 돌아갔고, 빈부 격차는 오히려 커졌다.[9] 급격한 인플레이션으로 서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졌으며, 실업자도 증가했다.[9] 또한 대규모 부정부패가 만연했고, 왕실 주변과 정부 고위 관료들에게 뇌물 공세가 이루어졌다.[9]
  • 농촌 경제 파탄: 토지 개혁 이후 농민들은 토지를 소유하게 되었지만, 관개 시설 등 농업 기반 시설 부족으로 농업 생산성은 오히려 감소했다.[9] 이로 인해 식량을 수입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고, 많은 농민들이 도시로 유입되어 슬럼을 형성했다.[9]
  • 전통 가치 및 문화 경시: 서구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란의 전통적인 가치와 문화를 경시했다는 비판을 받았다.[9] 여성 참정권 부여, 히잡 착용 금지 등은 일부 성직자들의 반발을 샀다.[9]
  • 이란 혁명의 배경: 백색 혁명으로 인한 경제적 격차 확대와 정치적 불만은 국민들의 구심력을 약화시켰다.[9] 자유주의적 테크노크라트와 보수적인 시아파 종교 지도자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으며,[9] 이는 결국 이란 혁명 발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평가된다.[9]

종합 평가:

백색 혁명은 이란의 근대화를 위한 노력이었지만, 산업 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급격한 산업화를 추진하고 농업 부문을 소홀히 한 점, 서구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란의 전통적인 가치와 문화를 경시하고 종교계의 반발을 초래한 점 등 여러 문제점을 야기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결국 이란 사회의 모순을 심화시키고, 이란 혁명의 발발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Iran: A Modern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17
[2] 뉴스 1979: Iran and America https://www.britanni[...]
[3] 서적 The Turban for the Crown: The Islamic Revolution in Iran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Liberal Nationalism in Iran: The failure of a movement Westview Press
[5] 서적 Workers and Working Classes in the Middle East: Struggles, Histories, Historiographies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 학술지 Modernization and Reform from Above: The Case of Iran
[7] 서적 The Making of Iran's Islamic Revolution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8] 서적 Tehran: A Revolution in Making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16
[9] 웹사이트 White Revolution (1961–1963) https://www.encyclop[...] 2019-11-22
[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12] 웹사이트 1979: Iran and America https://www.brooking[...] 2019-01-24
[13] 웹사이트 Welcome to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2-12-03
[14] 웹사이트 White Revolution (Iran) https://www.britanni[...] 2022-12-03
[1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16] 서적 Liberal Nationalism in Iran: The failure of a movement
[17]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18] 뉴스 Farmers Dislike Shah's Land Reform https://www.washingt[...] 2018-07-13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Islam and Revolution
[22] 서적 Khomeini: Life of the Ayatollah Thomas Dunne Books
[23] 서적 Islam and Revolution : Writing and Declarations of Imam Khomeini Mizan Press
[24] 서적
[25] 서적 Iran, the Illusion of Power St. Martin'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